본문 바로가기

News Archive

(54)
핀테크도 금융경영연구소 꾸린다…토스, ‘토스인사이트’ 출범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비바리퍼블리카(토스)가 금융경영연구소 ‘토스인사이트’(Toss Insight)를 출범했다고 2일 밝혔다.토스인사이트는 핀테크 업권을 중심으로 금융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관련 정책을 분석하고 트렌드를 연구한다. 이를 통해 금융산업 전반에 유의미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사회적 기여도를 확대하고자 한다. 또한 토스의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수립해 의사결정을 돕는 등 싱크탱크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설립 초기 토스인사이트의 역할은 금융 및 디지털 금융 산업의 정책 연구와 동향 분석이다. 국내 및 글로벌 국내 금융 시장의 주요 흐름을 분석하고, 필요한 규제 개선 사항을 발굴해 관련 정책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학계 및 외부 전문가와의 협력 강화에도 힘쓴다. 금융, 경제, 기술..
인터넷은행 3사 직원 1인당 생산성, 5대 은행의 2.4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908120?sid=101 인터넷은행 3사 직원 1인당 생산성, 5대 은행의 2.4배1년 전 1.5배서 격차 확대…전체 직원 규모 등에 큰 영향 올해 상반기 인터넷전문은행 직원 1인당 생산성이 주요 시중은행을 압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각 은행 상반기 경영공시 자료에 따르면n.news.naver.com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올해 상반기 인터넷전문은행 직원 1인당 생산성이 주요 시중은행을 압도한 것으로 나타났다.3일 각 은행 상반기 경영공시 자료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의 올해 6월 말 기준 직원 1인당 충당금 적립 전 이익은 평균 3억8천1만원으로 집계됐다.지난해 6월 말(2억7..
"최초·최초·최초'…핀테크 시대 연 웹케시, 다음 먹거리는 'AI' (서울=뉴스1) 대담=강은성 성장산업부장 김형준 박세연 기자 = "고객들의 요구사항들이 쌓이고 그것에 대응해 나가다 보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들이 계속해서 보여요. 웹케시는 자금 분야 외길을 걸었으니까 그런 요구를 서비스로 만들어 낼 수 있었던 거죠."회사가 걸어온 길을 설명하는 윤완수 웹케시(053580) 부회장의 목소리에서는 자신감이 묻어났다. 윤 부회장은 '핀테크'라는 개념이 생소하던 지난 1999년 1호 핀테크 업체 웹케시를 창립한 멤버 가운데 하나다.창립 이후 웹케시의 행보 하나하나에는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국내 최초의 웹 기반의 현금지급기(ATM)를 보급했고 지금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가상계좌 서비스, 기업 인터넷뱅킹 시스템을 최초로 만든 회사가 웹케시였다. ◇정부부터 소기업까지 쓰는..
[스타트업 필독法]카카오페이는 알리페이에 위법하게 정보를 이전했을까? 금융감독원은 지난 13일 카카오페이가 알리페이에 개인정보를 이전한 것이 위법하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카카오페이는 '애플/알리페이 정보제공 관련 기사에 대한 안내'라는 글을 홈페이지에 게시하며 즉시 해명 입장을 발표했다. 금융감독원과 카카오페이의 입장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금융감독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사건은 크게 두 가지 사안으로 나뉜다. 첫 번째 사안은 카카오페이가 NSF(Non-Sufficient-Funds) 스코어 산출을 목적으로 알리페이에 개인정보를 제공한 것이다. NSF 스코어란 애플이 일괄 결제시스템 운영 시 필요한 고객별 신용점수다. 알리페이는 NSF 스코어 산출을 명목으로 카카오페이에 전체 고객의 신용정보를 요청했으며, 카카오페이는 해외결제를 이용하지 않은 고객까지 포함해 전체..
김병환 금융위원장 “아날로그 금융법제 재점검해 디지털 전환할 것”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아날로그 시대에 만들어진 금융법제를 재점검해 금융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약속했다.김 위원장은 2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막한 글로벌 핀테크 박람회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4’의 환영사를 통해 “우리는 인공지능(AI)이 주도하는 새로운 지적시대의 여명 속에 살고 있다”라며 “인터넷 혁명의 초기에 그랬듯이, AI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개인과 기업의 경쟁력이 좌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위원장은 이런 배경에서 금융권이 AI 시장에서 미래 기회를 선점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향후에도 “망분리 규제 완화를 포함한 원칙 중심의 보안규제 합리화를 추진하고, 금융회사 데이터 활용 규제도 정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이어 김 위원..
[송민택 교수의 핀테크 4.0] 망분리 규제 개선의 의미와 전망 2013년 대규모 전산망 마비 사태 이후 10년 이상 유지돼온 망분리 규제가 변화를 맞이한다. 최근 금융당국은 기존 규제를 조정하는 '금융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을 발표했다.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기술이 주도하는 글로벌 환경에 대응하고, 국내 금융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그동안 금융권은 망분리로 인해 글로벌 트렌드에 뒤처지고 있다는 불만을 제기해왔다. 주요 쟁점은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의 제한, 솔루션 도입 및 원활한 개발 환경 구축의 한계 등이다. 핀테크 기업도 서비스 개발에 제약이 있다며 줄곧 규제 완화를 요구해왔다. 이번 로드맵은 이런 업계의 의견을 상당 부분 반영한 결과물인 셈이다.로드맵의 핵심은 단계적 접근과 자율보안과 결과책임의 원칙이다. 첫 단계는 생성형 ..
[지금만나] "고객 소통이 모임통장의 차이를 만든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864634?sid=101 [지금만나] "고객 소통이 모임통장의 차이를 만든다"매일 무수히 많은 정보가 쏟아집니다. 정보 유통이 빛의 속도로 빨라져 늘 새로운 얘기에 둘러싸입니다. 모두 사람이 하는 일입니다만, 그 안에 어떤 고민과 혜안이 녹아있는지는 제대로 알지n.news.naver.com  "고객과 함께 만들어 나가는 게 토스뱅크 모임통장의 가장 큰 성장동력입니다."강명진 토스뱅크 모임스쿼드 프로덕트 오너(product owner)의 이 한마디가 토스뱅크 모임통장의 인기 비결을 알려준다. 기자는 강 PO를 만나 모임통장에 관한 토스뱅크의 얘기를 들어봤다.강명진 토스뱅크 모임스쿼드 PO가 지난 8일 오후 서울 강남구 토..
핀테크도 AI가 '대세'…상반기 글로벌 톱10 기업 모두 AI 활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63316?sid=101 핀테크도 AI가 '대세'…상반기 글로벌 톱10 기업 모두 AI 활용고금리와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2024년 상반기 글로벌 핀테크 시장이 주춤했지만, 결제(Payment)와 레그테크(Regtech) 부문이 강세를 보였으며, 인공지능(AI) 부문이 핀테크 투자의 핵심 영역으로n.news.naver.com  고금리와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2024년 상반기 글로벌 핀테크 시장이 주춤했지만, 결제(Payment)와 레그테크(Regtech) 부문이 강세를 보였으며, 인공지능(AI) 부문이 핀테크 투자의 핵심 영역으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나타났다.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KPMG가 26일 발간한 보고서..